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13년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강의, 세미나/사회복지 세미나 2013. 9. 7. 10:58

    2013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일시 : 201394() 09:00~18:00

    장소 :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 교육장

     

     

     

    1. 비영리마케팅을 활용하는 현장사회복지사의 가치와 태도 _ 방대욱(다음세대재단 상임이사)

    2. 비영리조직의 마케팅 _ 방대욱(다음세대재단 상임이사)

    3. ‘홍보로 사회사업하기지역아동센터의 홍보 _김종원(푸른복지사무소 연구원)

    4. 사회복지철학과 실천 _ 유범상(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연계전공 담당교수)

     

     사회복지현장에서 일하면서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계발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꼈었는데

    이렇게 보수교육을 받을 수 있어서 얼마나 행복한지. 감사하다.

     

    *비영리마케팅을 활용하는 현장사회복지사의 가치와 태도, 비영리조직의 마케팅.

     

     

     

    - 사실 방대욱 이사님은 예전부터 세미나와 사회복지정보원을 통해서 몇 번 뵈었었다. 페이스북과 블로그에서도 글과 그림을 통해 나의 생각을 말랑말랑 해주시는 분이시다. 삼성에서 근무를 하시고, 아이들과 미래 창립멤버로 현재는 다음세대제단 상임이사로 활동하시면서 사회복지현장에서도 꼭 필요한 강의들을 해주시는 분이시다.

    - 생각. 요즘 생각하는 시간이 너무 없다. 다 알고 있고, 이미 알고 있는데,,, 아직 하지 않음. 오늘의 주요 강의내용은 창의력기획”/ ‘()’은 노력에 노력을 더하다. 결론은, 창의력은 생각이 행동으로 나타나야 한다는 것.

    - 방대욱 이사님의 3가지 꿈. 1) 경찰. 37세에 경찰대학에 들어가려고 실제 준비했었다고 한다. 2) 현장사회복지사. 현장에서 아이들과 함께 사업을 진행하고 싶었다고 한다. 3) 공동모금회 사무총장. 연간 3,000억을 쓰는데 왜 사회가 변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개인적으로는 공동모금회 사무총장이 잘 어울리실 듯 하다.

    - 기획과 계획의 차이. 기획은 아이디어 차원, 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과정. 절차와 과정을 의미. / 계획은 실행에 가까움. 기획을 통해 산출되는 결과. 기획의 두 축은 실행가능성과 상상력(창의력). 대부분의 사회복지현장은 상상력(창의력)보다는 실행가능성에 무게가 많이 실려 있다. 아무래도 사업을 반드시 실행해야 돼서 그런 것 같다.

    - “안 되는 것은 안 된다.”라고 인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회사에서도 불가능해 보이는 일을 성공하게 된 직원이 있다면, 그 이후부터는 그 일은 당연히 성공해야 하는 일로 된다. 어떻게 생각해보면 상당히 위험한 발상일 수 있다.

    재미있었던 슬라이드 : 오리온 초코파이 . 창의력은 {프레임}을 깨는 작업!.

    - <수렴적사고><발산적사고>의 비교. 일반 조직에서는 보통 수렴적 사고(수직적)를 갖게 되고, 창의적인 조직에서는 발산적사고(수평적)를 갖게 된다는 의미. 다음세대재단은 발산적사고가 넘치는 조직이라고 한다.^^

    - 허버트 사이먼의 최적만족 추구자(Optimizer)/ 창의력의 아버지 폴 토렌스 이야기

     

    29 ways to stay CREATIVE  . 크리에이티브를 하기 위한 29가지 방법이란 동영상인데,

    정말 와 닿은 문구가 대부분이었다. 동영상은 한번 보세요. 공유해요~

     

     

     

     

     

    출처 관련 블로그 : 동영상 및 인포그래픽 http://bejimil.tistory.com/14

     

     

    - 방대욱 이사님이 말하는 좋은 기획이란,

    Intention(의도)/ Tangible Goal(유연한 목표)/ Added Value(부가가치)/ Solution(해결책)

    변수를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좋은 기획자는 정보력, 분석력, 창의력, 실행력.

    방대욱 이사님 Blog http://blog.daum.net/daewook

     

     

    * ‘홍보로 사회사업하기지역아동센터의 홍보

     

    - 김종원 선생님도 대학생부터 많이 인사하고 지냈던 분이라 강의가 낯설지가 않았다. 선생님의 홍보로 사회사업을 하는 모든 일들이 항상 도전이 되고, 지금 사회복지현장에 있는 나에게도 큰 힘이 되고 있다. 작년 사회복지 홍보를 말하다강의도 들었었고, 자신의 삶 가운데서 홍보를 사회복지 관점으로 풀어내시는 선생님을 보면 멋지시다. 깔끔하고 메시지 넘치는 PT도 굳굳!

     

     

    - video. 운동이 시작되는 방법(Derek Sivers: How to start a movement).

    http://www.ted.com/talks/view/lang/en//id/814

     

     

    -「홍보사회사업은 당사자와 지역사회 스스로가 복지를 이룰수 있는 방법을 알리고, 더불어 살자고 제안하는 활동입니다. 홍보도구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영향을 끼쳐본 사례들을 소개해주셨다.

    - 관계강점으로 보는 PR, 사회사업, 홍보사회사업. “홍보사회사업은 지역주민의 관계를 기르는 데 노력하여 기관이 홍보되게 합니다.” 

     

    * 사회복지철학과 실천

     

    - 유범상 강사님은 오늘 처음 뵌 분이시다. 정말 재밌고 유머러스하게 강의해주시고, 사회복지철학과 이념 등 어려운 주제를 알기 쉽게 설명해주시는데 귀에 쏙쏙 들어왔다. (사)마중물과 복지마중물까페에서도 활동하신다고 한다.

    - 사회복지철학의 물음. 예를 들어, 참치캔을 따다가 아이가 손을 베었다. 피가 나고 난리가 아니다. “여러분은 무엇이라고 하겠는가?” 대부분의 부모들은 조심하지?’라고 말할 것이다. 그런데 이런 반응은 어떨까? ‘어느 회사 제품이야’,‘정부는 시민들을 위한 안전관리 하나 제대로 못해!’ 교수님은 강의에서 위험에 대한 상이한 견해를 설명해주셨다.

     

     

    <위험에 대한 상이한 견해>

    위험은 개인이 책임이다

    위험은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다

    가족간 갈등

    시민과 사회, 시민과 정부 간의 갈등

    잔여적 복지

    제도적 복지

    가난은 나라도 구하지 못한다

    가난은 나라가 구해야 한다

     

    - video. “대한민국은 행복한가? - 초딩”(KBS)

                     “아동, 초딩으로 산다는 것.”(지식채널e)

     

     

    - 우리 사회는 상징계라는 사회적 관계 거울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사회의 상징계에서는 경쟁, 외모, 학벌, , 명예에 대한 기준(거울)이 심한 것 같다.

    - 강의 후반부에서는 이념의 스펙트럼도 들었다. 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등 복잡해보이지만 19세기부터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한국의 현주와 유럽국가의 모델까지 재밌게 설명해주셨다.

     

     

     

     

    - video. 영화 철의 여인’, KBS스페셜 철의 여인’.

    - 결론. 나에 대한 질문 : 어떤 철학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철학은 철학 하나가 존재하는 것이 아닐, 철학들이 존재한다. 이것은 상식, 윤리, 진리가 하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펼치는 사회정책. 박근혜 정부에서의 정책들, 북유럽국가에서의 정책들.

    - “좋은 사람, 나쁜 사람이 아니라, 철학(생각)이 다른 사람이니까.”

     

    - 사회복지사로서 나는 어떤 철학(가치관)을 가지고 실천(일상)하고 있는가?

       아이를 만날 때, 어떤 관점으로 대하는가.

     

    하늘이 참 맑다. 바람이 분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