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가 좋아/아동학대를 말하다

아동보호전문기관 직무교육 기록 - 학대피해아동 특성의 이해

solomon.joo 2019. 6. 14. 17:57

얼마 전 아동보호전문기관 직무교육을 다녀오면서,

학대피해아동의 특성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고 자세하게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내가 만나는 아동들과 그 가족들이 '학대'라는 상황에서 얼마나 크게 영향을 받을지, 학대가 더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조치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지 더 노력해야 겠다.  

학대피해아동 특성의 이해 _김태경(우석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 아동학대는 어린 시기일수록 트라우마의 영향력이 극대화된다.

- 건강한 뇌 발달을 위해서는 적당한 자극과 돌봄이 필요하다. ‘적당한자극이란 훈육도 포함된다. Big Trauma는 뇌 발달의 손상을 일으킨다.

- Trauma & Brain Development와 관련해서 전형적인 발달(Typical Development)트라우마를 겪은 아동(Developmental Trauma)와 큰 차이를 보인다. 전형적인 발달단계에서는 생존의 욕구보다 고차원적인 인지기능을 추구하는 것임에 반하여, 트라우마를 겪은 아동은 생존(survival)의 욕구가 제일 중요하게 여기게 된다. 특히, 후천적 트라우마는 세상은 안전하지 않다’, ‘사람들은 나를 해치고 싶어해.’ 등의 사고를 갖는 경우가 많다. 반복된 트라우마로 인해 기억에서 세상에 대한 혐오감이 커지게 된다.

-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의 급성증상은 불안, 초조, 정서적 불안정성, 회피, 과각성(사소한 자극에도 공포감을 느낌), 악몽, 해리(일시적 기억상실)등이 있고, 만성증상으로는 과잉 복종적인 태도, 거짓 조숙함(생존을 위해서), 정서억제, 기억상실, 섭식장애, 약물 오남용, 비행행동, 자해와 자살시도, 위험한 성적 의사결정(성매매) 등이 있다. 과잉 복종적인 태도와 관련한 실험으로 학습된 무기력 이론(Learned helplessness theory(Seligman)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른 대처전략으로는 1)동기화 촉진- 초기 개입이 중요하다. 2)모델링 활용, 관찰학습이 필요하다. 3) 긍정적 체험. 긍정적인 언어로 연습한다.